본문 바로가기

치아

치주염 증상에 따라 치아 발치 필요한 시기와 기준

치주염은 치아 주위 조직이 염증으로 인해서 잇몸과 치아를 지지해 주는 치조골(뼈)이 파괴되는 질환을 말합니다. 잇몸 질환, 치주질환, 치은염, 치주염 등을 포함한 질환입니다.

 

일반 성인분들의 대부분이 가지고 있는 질환이지만 본인이 얼마나 잘 관리하는지에 따라서 진행여부가 달라지게 됩니다. 치주병은 조금씩 나타나게 되어 증상이 심하게 되면 발치를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발치 기준과 시기 심한 치주염 증상 통증 치아나 이 흔들림 잇몸질환 염증 주의사항 치료방법

 

발치와 치아 흔들림

치주염이 있으면 양치질을 할 때 잇몸에서 피가 나거나 치아가 흔들려서 음식을 씹기 어려운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가 흔들린다는 것은 치근 주위의 뼈가 녹아서 치아의 지지대가 없어지면서 이런 증상이 나타납니다.

 

인위적으로 발치를 하지 않더라도 이런 흔들리는 상태로 계속 생활하면 자연스럽게 치아가 빠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치아 흔들림 증상이 있다고 반드시 발치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신체의 나이, 질환, 치아의 상태 등에 따라서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서 결정해야 합니다. 

 

이를 뽑지 않고 생활하면서 음식을 먹는데 어렵거나 치료를 해야 하는 기간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치과 의사와 상담을 한 후 어떻게 치료를 할지 결정하는 게 중요합니다.

 

발치 기준

  • 50% 이상 치아지지골(치조골)의 파괴
  • 과도한 흔들림
  • 뿌리 부분에 병변
  • 반복하는 뿌리나 잇몸 급성 염증
  • 인접 치아의 영향
  • 심한 치주염(높은 감염 위험성)
  • 잔존 치아 수
  • 흡연
  • 전신 질환
  • 평소 치아 위생 관리 습관

일반적으로 치아를 뽑을 때 판단을 하기 위한 항목이지만 절대적인 기준은 아닙니다. 치과 치료를 해도 너무 심하게 이가 흔들려서 통증과 함께 씹지 못하는 경우 발치를 할 수도 있습니다.

 

또 흔들림이 고정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심하거나 자주 급성 농양이 발생하고 주변의 치주 조직까지 파괴되는 원인이 될 경우에는 치료 초기에 발치를 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치아 발치 방법

앞니를 포함하여 어금니도 발치를 하려면 우선 통증을 억제하는 마취 주사를 바르거나 맞게 됩니다. 이후 이를 빼기 쉽게 하기 위해서 인대를 절제합니다.

 

이후 레버를 치아와 뼈 사이에 넣어서 탈구를 시킨 후 집게로 치아를 제거하게 됩니다. 이후 발치 부위에 염증이 있거나 나쁜 조직이 있는 경우에는 제거를 하고 소독을 해줍니다.

 

거즈를 씹어서 지혈을 하거나, 발치한 부위가 큰 경우에는 봉합을 하게 됩니다. 방법이나 구강 상태에 따라서 치료 방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치아 발치 후 출혈이 안멈춤 응급처치

 

치아 발치 후 출혈이 안멈춤 응급처치

치과에서 사랑니를 뽑거나 어금니를 발치 후 출혈이 집에 와서도 계속 진행이라면 당황스러우면서도 걱정되기 시작합니다. 일반적으로 치아 발치후 출혈은 올바른 압박 지혈이 될 경우에는 15~2

budori.tistory.com

 

발치 이외의 치료 방법

치주염 증상이 심한 경우 발치를 권장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다른 방법으로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치주 조직 재생 치료를 할 수 있는지 여부는 치과 의사와 상담을 통해서 결정하게 됩니다.

 

≫ 치주염 증상 중증으로 발치 피하는 방법

 

치주염 증상 중증으로 발치 피하는 방법

치주질환이란 대부분 잇몸에 세균에 의해서 감염되면서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치아 주변의 잇몸이나 뼈 등 이런 부분에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잇몸질환은 잇몸에만 증상이 염증이 발생하는

budori.tistory.com


발치를 해야 한다는 기준은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판단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치아를 뽑지 않고 남기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오히려 치아 발치를 하지 않을 경우 증상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경우 치과 의사와 상담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뽑는 것 이외에 다른 치료 방법도 있으므로 치주 치료만을 전문적으로 하는 치과에 가서 상담을 받아보는 것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