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치아

아기 이나는 시기에 안 나오는 원인과 대처방법?

일반적으로 아기 이나는 시기가 있는데요, 이보다 훨씬 늦어지면 불안함을 느끼게 됩니다. 아이의 치아는 괜찮은 건지 이대로 유치가 나지 않는 것인지, 만약 나지 않으면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 여러 가지 신경이 쓰이게 됩니다. 

 

유치가 나는 것은 생후 6개월부터로 생후 1년이 되면 상하로 약 4개 정도 자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유치가 나는 시기는 개인마차 차이가 있어요. 첫니가 돌 즈음에 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크게 신경을 쓸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걱정이 된다면 생후 12개월을 기준으로 치아가 나오지 않는다면 치과에 가서 검사를 받아보세요.

 

아기이나는시기-아기이나는순서-안나오는원인-대처방법-이앓이증상-이앓이시기

 

아기 이나는 시기에 안 나오는 원인 및 대처방법

생후 1년이 지나도 유치가 나오지 않는 원인으로 저체중으로 태어났거나 조산이 있습니다. 정상적인 체중으로 태어나지 못하거나 너무 빠르게 나왔기 때문에 성장이 건강한 아이와 비교해서 더 느릴 수 있습니다. 이렇게 느리게 나오는 경우에는 3세까지 걸릴 수 있으므로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치과에서 검사를 한 후 치료를 해야 한다고 판단이 되는 경우에는 잇몸의 뼈에 묻혀 있는 치아가 밖으로 자랄 수 있도록 수술을 할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부담이 될 수 있으므로 이런 수술은 치과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서 충분히 생각한 후 결정을 해야 합니다.

 

아기 이나는 시기에 제대로 나오지 않는 원인으로는 쌍생치가 있습니다. 융합치나 유합치라고 불리는데요, 두 개의 독립된 치이가 발육 중 상아질 부위에서 결합된 치아를 말합니다. 이런 융합치는 영구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 유치 이후에 영구치가 나올 시기까지 잘 지켜봐야 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발치가 필요할 수 있으니까요. 또 치아끼리 붙어있어서 그 사이에 플라그가 쌓이기가 쉬워서 충치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이가 양치질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도와주거나 치과에 가서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으면서 청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태어날 때 충치균 없는 아기, 왜 생기는걸까?

 

태어날 때 충치균 없는 아기 생기는 이유

아기는 태어날 때는 입안에 충치균이 없다고 합니다. 그런데 아기가 자라면서 입 안에 염증이 생기고, 치아가 자라면서 충치가 생기기도 하는데요 도대체 어디서 충치균이 생기는 것일까요. 충

budori.tistory.com

 

태어날 때부터 유전이나 엄마가 먹었던 약의 부작용, 아이가 가지고 있는 전신질환으로 선천적 치아 부족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선천적으로 유치가 부족하기 때문에 영구치도 부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늦게 유치가 나오기도 하지만 나온 후에도 이가 부족하여 그 공간으로 인해서 치아의 배열이 나빠지거나 발음이나 식사를 할 때 불편해질 수 있습니다. 노력을 해도 자연치아가 나올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계속 지켜보면서 성장에 맞춰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유치 나오기 전 이앓이 증상 및 시기

아기 이앓이 시기는 빠르면 생후 4개월부터 나올 수 있는데요, 이때 이앓이 증상으로 몇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우선 잇몸의 통증을 조금이라도 완화시키기 위해서 뭐든지 입에 넣으려고 합니다. 그래서 장난감이나 손가락 등을 입으로 가져가 빠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아기 쪽쪽이 치아나 치열의 영향 및 시기는 언제까지?

 

아기 쪽쪽이 치아나 치열의 영향 및 시기

아기가 태어나면 신생아 때부터 쪽쪽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편리한 육아 용품으로 아이를 키우는 가정에서는 하나쯤은 가지고 있는 제품인데요, 너무 오랜 기간 사용하면 치아에 영향

budori.tistory.com

 

잇몸에 통증을 느끼면서 식욕이 떨어지게 되는데요, 그래서 평소보다 먹는 양이 줄거나 마시는 것을 피하게 돼요. 또 제대로 잠을 자지를 못하니까 자주 짜증을 내서 일이 많아지게 됩니다. 갑자기 똥의 양이 많아지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때 고열이나 

피가 섞여 있다면 바로 병원에 가서 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자꾸 귀를 당기는 행동을 하거나 몸에 발열이 될 수도 있습니다. 

 

평소보다 침의 분비가 많아져서 흘리는 경우가 있거나, 잇몸이 붓거나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런 것은 이가 나오기 전의 증상으로 일시적이기 때문에 크게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부모님이 아기의 유치가 잘 자라는지 계속 지켜볼 필요는 있습니다. 

 

아기 구내염 증상에 따른 빨리 낫는 대처방법이나 치료는?

 

아기 구내염 증상 대처방법이나 치료

아기 구내염 증상은 외관상으로만 보면 잘 알 수 없지만 평소와 다른 모습을 보일 때 의심할 수 있습니다. 갑자기 열이 발생하거나 뭔가 먹고 싶어 하지 않는다면 구내염을 의심할 수 있으므로

budori.tistory.com


아기 이나는 시기나 순서는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알려진 정보와 다르다고 너무 신경 쓸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생후 12개월이 지나고 난 후에도 전혀 유치가 나올 기미가 보이지 않을 경우에는 치과에 가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3세가 되었는데도 유치가 나오지 않았다면 아기에게 질병이 있을 가능성이 있으니까요. 생후 1년 전이지만 그래도 걱정이 된다면 남들에게 물어보지 말고 바로 치과에 가서 상담받는 것을 권장합니다.